「 엔터 누르는 순간, 남이 보고 내용 바뀔 수도 」 ‘유리봉투 속 편지’ e-메일 비밀스런 얘기를 하고 싶다면 e-메일은 가급적 피하는게 좋다. 별다른 생각없이 전송을 하면 그 순간부터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서울 가락동의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상황실에서는 매 5분 동안 수십만 건에 이르는 해킹시도를 목격할 수 있다. 평소 인터넷 보안에 신경쓰지 않는다면 개인 e-메일은 이들 해킹의 먹잇감이 되어 누구나 다 볼 수 있는 ‘공용서신’이 될 수도 있다.(※ 기사는 ‘중앙SUNDAY’ 전문.) ▲ 서울 가락동에 있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지원센터 상황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민간 인터넷 트래픽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오른쪽 위 세계지도와 흰 선들이 미국ㆍ중국ㆍ유럽 등지에서 실시간으로 한국 내 인터넷 서버로 해킹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보여 주는 화면이다.(사진 최정동 기자) 12일 오전 서울 가락동 한국정보보호진흥원 5층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지원센터 상황실. 3중 보안장치를 열고 들어가니 가로 6m, 세로 2m의 대형 멀티큐브로 된 모니터가 나타났다. 이곳은 우리나라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민간 인터넷 트래픽 상황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지켜보고 위기에 대처하는 국가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이다. 12개로 나눠진 모니터에는 인터넷서비스업체(ISPㆍ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전국 트래픽 추이, 도메인 네임 서버(DNS) 모니터링 시스템, 사이버 위협 경보레이더, ISP 업계 공격 추이 등이 5분 단위로 갱신되고 있었다. 멀티큐브 양 옆으로는 CNN과 YTN 뉴스도 켜져 있다. 모니터 한 곳에는 세계지도가 표시돼 있고, 미국과 중국ㆍ유럽 등지에서 한국으로 수많은 선이 그어져 있다. 해킹대응팀 최중섭 팀장은 “외국에서 우리나라 인터넷 서버로 해킹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라며 “한 달이면 수천만 건의 해킹 시도가 이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평소 보안상 허점을 업데이트하는 등 정보보안에 신경 쓰지 않으면 이처럼 수없이 많은 해킹 시도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 e-메일로 국가 기관망 침투 시도 2007년 6월 당시 정보통신부 서석진 기술정책과장 앞으로 수상한 e-메일이 들어왔다. 국회 사무처 직원이 발신자로 된 e-메일에 제목이 ‘KOTRA 주최 캐나다 진출 오찬 설명회’라는 파일이 첨부돼 있었다. 발신자와 발신 내용이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서 과장과 업무상 관계도 없는 내용이었다. 얼마 전까지 정보보호정책팀장을 맡았던 서 과장은 해킹 메일이라는 것을 직감했다. 그는 첨부파일을 열지 않고 곧바로 한국정보보호진흥원에 신고했다. 진흥원과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수사 결과 그 메일은 국가 기관 해킹을 위해 외국에서 뿌려진 것이었다. 그는 “그때 첨부파일을 열었다면 내 컴퓨터가 해킹되면서 다른 e-메일 내용은 물론 PC에 담겨 있던 중요한 서류들이 모두 유출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첫 해외순방을 앞둔 지난해 3월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과천 정부부처의 과장급 이상 공무원들에게 ‘이명박 대통령 순방일정’이라는 이름이 붙은 엑셀파일이 첨부된 e-메일이 도착했다. 대통령의 해외일정을 들여다보고 싶은 공무원의 호기심을 노린 파일이었다. 국가정보원 관계자는 “당시 e-메일은 첨부파일에 악성코드가 숨어 있어 파일을 열 경우 PC가 해킹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웜ㆍ바이러스로 PC 조종 가능 e-메일은 편리하다. 전 세계 어디서나 e-메일 주소만 있으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편지를 주고받고 파일 첨부 기능을 이용해 문서도 건넬 수 있다. 하지만 첨단 IT 기술의 총아처럼 보이는 e-메일은 그 첨단 IT 기술을 역이용한 해킹 때문에 반대로 심각한 정보 누출의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 e-메일을 통한 해킹 위협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진다. 가장 흔한 경우가 대량 스팸메일 속에 숨어있는 넷봇(netbot)이다. 넷봇은 웜ㆍ바이러스에 꼬리가 달려있는 경우다. 해커가 e-메일을 통해 웜ㆍ바이러스를 보내 PC를 어지럽히는 데 그치지 않고, 계속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웜ㆍ바이러스에 감염된 PC를 조종할 수 있다. ‘수상한 e-메일은 안 열어 보면 되지’라고 얘기할 수도 있지만,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 스타 여배우 전지현의 스크린 세이버라는 뜻의 ‘전지현.scr’ 또는 ‘게임exe’와 같은 이름의 파일이 첨부돼 있을 경우 많은 사람이 호기심 때문에 열어 보기 쉽다. e-메일을 열어보기만 해도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웹에서 사용하는 html 문서나 그림파일 등에 악성코드를 숨기는 방법이다. 금융회사 등을 사칭한 피싱(phishing) 메일은 수년 전부터 많이 유행했던 형태다. 특정 은행을 사칭한 e-메일을 보내면서 “수정할 사항이 있으니 아래 주소로 들어와서 고쳐라”라는 식이다. 물론 이 사이트로 들어가면 진짜와 흡사한 가짜 은행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네티즌이 평소 거래처럼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빼내기 위한 방법이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에 따르면 해커가 네티즌의 PC 화면을 자신의 모니터로 보면서 원격조종하는 해킹 프로그램도 존재한다. 이렇게 되면 네티즌의 e-메일이나 문서뿐 아니라 게임사이트나 인터넷 뱅킹 로그인 정보 등도 모두 2차로 해킹될 수 있다. 정보보호진흥원 최 팀장은 “기술적으로 e-메일을 중간에 가로채거나, 심지어는 e-메일 내용을 바꿔서 원래 수신자에게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회사서도 들여다본다 해킹을 통한 e-메일 엿보기가 몰래 이뤄지는 행위라면, 회사에서의 직원 e-메일 모니터링은 공공연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최근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사내 정보보안 등의 이유로 직원 e-메일을 모니터하고 있다. 회사가 직원 컴퓨터에 감시 전용 소프트웨어를 깔고 직원의 컴퓨터 이용과 관련한 모든 이용기록을 감시하는 회사도 적지 않다. 한 대기업 직원은 “회사가 직원의 메신저와 e-메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해 회장의 이름이나 ‘퇴사’ 등 특정 단어가 나올 경우 자동으로 분류ㆍ저장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이렇게 쌓인 데이터는 정보보안은 물론 직원에 대한 통제와 감시의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법적으로는 이런 행위를 할 수 없다. 통신비밀보호법 3조1항에 따르면 관련 법과 규정에 의하지 않고는 우편물의 검열ㆍ전기통신의 감청 또는 통신사실 확인자료를 제공하거나 공개되지 않은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녹음 또는 들을 수 없다. 즉, 회사가 직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e-메일을 들여다본다면 불법이라는 얘기다. 최윤정 변호사는 “회사가 사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알리고 직원의 동의를 구했다 하더라도 업무용 e-메일이 아닌 개인 e-메일을 들여다보는 것은 불법”이라며 “만일 근로자가 가르쳐 주지 않은 비밀번호를 알아내서 e-메일을 열람했다면 이 또한 처벌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액티브X 프로그램 설치도 가려서 그럼 어떻게 웜ㆍ바이러스 등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을까. 우선 쓰는 컴퓨터에 자동 보안패치를 설정해 둬야 한다. 패치란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회사가 내놓는 업데이트 프로그램이다. 대부분의 해킹이나 웜ㆍ바이러스 감염은 패치를 제때 하지 않은 취약한 컴퓨터를 공격대상으로 활동한다. 또 컴퓨터를 켤 때 PC의 보안패치와 함께 백신 프로그램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해야 한다. 윈도가 최신으로 업데이트돼도 다른 경로를 통해서 웜ㆍ바이러스 같은 악성 코드에 감염될 수 있다. 메신저나 e-메일에서 주고받은 파일도 백신으로 검사한 뒤 사용해야 한다.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흔히 내려받기를 권유받는 ‘액티브X 프로그램’도 조심해야 한다. 믿을 수 있는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것만 설치해야 한다. 악성 코드나 스파이웨어는 주로 액티브X 방식으로 설치된다. 처음 방문한 사이트나 성인물 사이트에서 무심코 액티브X 프로그램을 내려받을 경우 PC 속도가 떨어지고, 악성코드에 감염되기 십상이다. 심지어는 백신이나 방화벽 프로그램까지 손상을 입기도 한다. 은행거래 등에 쓰이는 공인인증서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USB나 스마트카드 등 이동식 저장장치에 보관하는 게 좋다. 이 경우라 하더라도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PC에서는 금융거래를 하지 않는 게 좋다. 해당 컴퓨터가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면 개인정보 유출은 물론 금융사고까지 생길 수 있다. 가입한 사이트의 비밀번호는 최소한 3개월마다 한 번은 바꿔주는 게 좋다. 또 컴퓨터를 켜거나 중요 문서를 열 때도 반드시 패스워드를 설정해 사용해야 한다. 만약에 웜ㆍ바이러스나 해킹 등에 노출됐는데 주변에 도움을 줄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국번 없이 118’(한국정보보호진흥원)로 전화해 ‘원격점검’을 요청하면 된다.
~ 인터넷보다 먼저 생긴 e-메일 e-메일은 38년 전에 처음 만들어졌다. 미국의 컴퓨터 프로그래머 ‘레이 톰린슨’(Ray Tomlinsonㆍ1941∼)이 그 주인공이다. 그는 인터넷의 전신인 미 국방부의 아르파넷(ARPANET) 프로젝트에 참여해 통신 기술을 연구하다 e-메일을 창안했다. 그가 처음으로 e-메일을 보낸 사람은 바로 자신이었다. 한 컴퓨터에서 메시지를 친 뒤 3.5m 떨어져 있는 다른 컴퓨터로 가서 검사한 것이 e-메일의 시작이었다. 최초의 내용은 그가 왼쪽 손으로 키보드 영문자판을 두드려 쓴 ‘QWERTY’라는 의미 없는 내용이 전부였다. 그는 처음 e-메일을 발송한 뒤 메시지를 보낸 사람을 확인할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을 사용했으며, 이것이 지금의 e-메일 주소 체계로 굳어졌다. 톰린슨은 지난해 영국 더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e-메일이 지금처럼 스팸메일 등에 악용될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며 “당시에는 e-메일을 사용하는 사람이 1000명도 되지 않았기 때문에 누군가 스팸메일을 보냈다면 바로 들통이 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스팸메일은 분명 문제이지만 e-메일은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좋거나 나쁘게 사용될 수 있다”며 “만약 누군가 전 세계 컴퓨터에 바이러스를 퍼뜨리고자 한다면 가장 대중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사용할 것이며, 그것은 바로 e-메일”이라고 말했다.
「 ‘이제는 말도 하네’ 진화하는 CCTV 」 연쇄살인범 강호순과 숭례문 방화범, 일산 초등생 성폭행 미수범 검거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 것은 CCTV(폐쇄회로 텔레비젼ㆍClosed Circuit TeleVision)였다. 범인의 모습을 촬영, 기록하는 무인카메라가 현장에서 ‘말없는 목격자’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집에서 놀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외부에서 컴퓨터를 통해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아이와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최근엔 CCTV가 한 단계 더 진화했다. ‘말하는 CCTV’가 등장한 것. 영상을 기록할 뿐 아니라 자동으로 경고음을 보내고 사람에게 인사를 건네기도 한다.
◀ 집에서 놀고있는 아이의 모습을 외부에서 컴퓨터를 통해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아이와 대화를 나눌 수 있다.
" 도둑에게 자동으로 '꼼짝마' 경고음 새벽 2시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아파트. 도둑이 현관문을 따고 거실에 침입한다. 가족들이 모두 자고 있는 데다 낯선 이를 보고 짖어줄 개도 없다. 그러나 도둑은 몇 초 지나지 않아 커다란 경보음과 함께 다음과 같은 목소리를 듣게 된다. “당신은 불법 주거 침입했습니다. 당신의 모습은 네트워크 카메라로 촬영되고 녹화됐습니다. 카메라를 벗어나려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녹화된 영상은 인터넷을 통해 이미 다른 곳에 저장됐습니다.” 마루에 설치된 CCTV의 목소리다. 당황한 도둑은 카메라를 부수려 하지만 때는 늦었다. 그의 모습은 이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뒤다. 도둑이 달아나도 집 주인은 관리자 서버에 연결해 도둑의 얼굴을 볼 수 있다. CCTV 한 대 당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가 부여되고 관리자는 해당 사이트에 접속해 영상을 확인한다.
◀ 소형 ‘말하는 CCTV’ 를 가정에 설치한 모습.
네트워크 카메라 업체 엑시스커뮤니케이션즈는 23일 이같은 방식의 CCTV ‘M10’ 시리즈를 출시했다. 일정한 시각 동일인이 두 번 이상 같은 반경을 서성일 경우 CCTV가 이를 보고 자동으로 경고 메시지를 울려준다. 평소에는 ‘주인님 어서오세요’ 등의 메시지가 나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집에서 아이들이 잘 있는지 걱정된다면 서버에 접속해 영상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 쓰레기 투기 현장도 ‘딱’ 잡아내 말하는 기능을 접목시킨 CCTV는 쓰레기 무단 투기를 잡아내는 데도 쓰인다. 카메라가 자동으로 말해주는 방식은 아니고 무인단속카메라를 보면서 모니터 요원이 실시간으로 감시, 경고 방송을 보내는 방식이다. 최근 충청남도 서산시는 시내 주요 상습 쓰레기 투기지역 9곳에 기존 무인단속카메라에 방송 시설을 추가한 형태의 CCTV를 설치했다. 불법 투기행위 현장을 시청 사무실에서 모니터 요원이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계도 방송을 전달한다. 쓰레기를 규격봉투에 담지 않은 채 버릴 경우 “선생님께서는 지금 비규격봉투를 사용하시고 계십니다. 종량제봉투를 사용해 주세요”라는 경고를 내보낸다. 서산시 환경보호과 관계자는 “CCTV에 말하는 기능을 접목시켰더니 무단 투기자들이 훨씬 줄었다”며 “최근 일반 검정 봉투를 버리려다 방송을 듣고 다시 가져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 금융 사기범 왜 잘 붙잡히나 했더니... 」 국제공조 덕에 외국 달아나도, 변장해도 돈 뺄 때 딱 걸려 지난달 19일 미국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 근처 고속도로 노상. 미 연방수사국(FBI) 요원이 강제로 정차시킨 차량에 다가가 고소장을 들이밀며 “당신이 스탠퍼드지?”라고 물었다. 운전자는 “맞소”라 대꾸했다. 80억 달러(약 10조원) 규모의 양도성예금증서(DC) 판매 사기 혐의로 지명 수배된 미 스탠퍼드 파이낸셜그룹 ‘앨런 스탠퍼드’(Robert Allen Stanfordㆍ1950∼)’ 회장이 붙잡히는 순간이었다. 세계 최대의 금융사기범 ‘버나드 메이도프’(Bernard Madoffㆍ1938∼)도 지난해 12월 그의 맨해튼 펜트하우스에서 체포됐다. 그는 650억 달러 규모의 금융 피라미드 사기를 쳐 종신형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피신하지 않았다. 메이도프 밑에서 17년간 일했던 회계사 ‘데이비드 프릴링’(David G. Friehling)도 부실 재무감사로 감옥행이 예고됐으나 도피하지 않은 채 FBI에 체포됐다. 이 밖에 5억5000만 달러의 고객 돈을 횡령한 카네기멜런대의 자금관리인과 1억 달러 규모의 투자 사기범 ‘제임스 니컬슨’(James Nicholson)도 사기 행각이 드러난 뒤 무기력하게 체포됐다. 금융사기범들이 피신하려고 하지 않은 채 줄줄이 감옥으로 가고 있다고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이 24일 보도했다. 미국이 남미ㆍ유럽 국가들과 범죄자 인도조약을 맺어 안전하게 피신할 만한 나라가 줄어든 데다, 범죄자들이 외국으로 피신해 성형수술을 하는 등 외모를 바꾸더라도 현대의 컴퓨터 기술로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범죄자들이 금융기관에서 돈을 빼낼 때 국제 금융감시망에 거래 내역이 적발될 확률도 높아졌다. ‘빅 오보이스키’(Vic O’Boyski) 전 미 연방보안관은 “금융사기범들은 전화하거나 편지하지 않고는 돈을 인출하기가 아주 힘들다”며 “해외로 도피 계획을 잘 짜지 않으면 해외로 탈출해도 곧바로 문제에 부닥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미 범죄자 추적 TV 프로그램 ‘미국의 범죄자’(America’s Most Wanted)나 인터넷 인맥 사이트 페이스북(Facebook) 등에서 세계 곳곳에 숨은 주요 범죄자들을 추적해 피신할 곳이 마땅치 않게 됐다고 IHT는 전했다. 반면 범죄조직 두목들은 경찰의 수사망이 좁혀 오면 해외로 달아나 비교적 안락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보스턴 윈터 힐 갱단 두목인 ‘제임스 볼거’(James ‘Whitey’ Bolger Jr.)는 1999년 해외로 사라진 뒤 아일랜드 더블린이나 이탈리아 시칠리아 등에서 목격됐다는 증언이 나왔으나 여전히 행방이 오리무중이다. ‘대니얼 리치먼’(Daniel C. Richman) 미 컬럼비아대 법학 교수는 “많은 화이트칼라 범죄자들은 자신들이 똑똑해 배심원들을 설득,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다고 자신하는 경향이 있다”며 “한마디로 한심한 범죄자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Bible believers. ─────────────────────────────────────────────
|